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Django
- 가상환경
- c언어문자열
- 컴퓨터과학
- 부스트코스
- 노마드코더
- 정렬알고리즘
- 성수동카페
- 장고
- Python
- removetooltip
- FLUTTER
- DOM
- 포인터
- 아스키코드
- pipenv
- 강원도속초맛집
- 속초여행
- 건대입구맛집
- 코딩독학
- 남양주맛집
- 추상클래스
- 상속
- BeautifulSoup
- popupmenubutton
- JavaScript
- 자바
- 알고리즘
- richtext
- python3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08)
YUYANE
장고는 MVC(Model-View-Controller) 기반의 프레임워크 - Model : 데이터 - View : 사용자 인터페이스 - Controller : 데이터 처리 로직 MTV(Model - Template - View) - Model :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되는 데이터 - Template :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부분 - View : 웹 요청을 받고, 전달 받은 데이터를 가공 후 템플릿에 보냄 URLconf - url은 View와 Template을 이어주는 역할 처리 순서 1) view.py 파일에서 사용하는데 필요한 models을 import함 2) 필요한 데이터를 model에 요청하기 위해 view를 사용 3) model에서 얻은 결과를 template에 전달 4) model에서 데이터를 받..
source code => compiler => machine code 1. 소스 코드 : 우리가 직접 작성한 코드 2. 머신 코드 : 2진수로 작성 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코드 3. 컴파일러 : 소스 코드를 머신 코드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clang hello.c -'clang'이라는 컴퍼일러로 'hello.c'라는 코드를 컴파일 하라는 의미 #include int main(void) { printf("hello, world\n"); }
내가 사용하는 모니터는 1초에 몇 개의 bit(0과 1)를 사용하여 화면을 표현하고 있을까? 픽셀 수 = 2560 * 1600 = 4,096,000 비트 수준 = 8bit 새로 고침 빈도(Hz) = 59Hz 답 = 4,096,000 * 8 * 59 = 1,933,312,000 비트 내가 사용하 는 컴퓨터의 CPU는 1초에 몇 개의 bit(0과 1)를 처리할 수 있을까? CPU 헤르츠 : 1.30GHz ~ 1.50GHz 답 = 1초 동안 13억 ~ 15억개의 비트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해상도 모든 컴퓨터의 이미지는 이미지의 최소 단위인 픽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픽셀이 갖는 컬러의 깊이로 컬러의 해상도가 결정 된다. 픽셀 모니터 이미지를 나타낼 때 점들을 찍어 나타내는데, 이 점들을 픽셀이라고 한다. 색..
학습 강의 www.udemy.com/course/python-and-django-full-stack-web-developer-bootcamp/ 가상환경 구축하기 강의에서는 아톰 터미널 창으로 가상환경을 구축하던데, 나는 잘 되지 않아서 아나콘다 프롬프트 창을 이용하고 있다. 여기에서 각자 컴퓨터 사양에 맞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Anaconda | Individual Edition Anaconda's open-source Individual Edition is the easiest way to perform Python/R data science and machine learning on a single machine. www.anaconda.com 1) 아나콘다 프롬프트 창을 켰다면, 다음의 명령어..
Regular Expression 검색 패턴을 정의하는 일련의 문자열 1. re.search() 원하는 정보를 찾을 때 사용 import re patterns = ['term1','term2'] text = 'This is a string with term1, but not the other!' for pattern in patterns: print("I'm searching for: "+pattern) if re.search(pattern, text): print("Match!") else: print("No match!") 결과: I'm Searching for: term1 Match! I'm searching for: term2 No match! re.search. 메서드의 결과 값은 어떤 유형일까..
컴퓨터는 아날로그 신호인 소리를 어떻게 디지털로 저장하는 걸까? 1) 표본화 아날로그 신호는 시간에 따라 값이 연속적으로 존재하며 그에 따라 존재하는 값들도 계속해서 존재한다. 디지털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이 연속적인 값들을 일정한 시간 간격 마다의 아날로그 신호(사운드의 경우 특정 시간의 기압)를 채취하는 표본화 과정이 필요하다. 2) 양자화 표본화 과정 이후에는 양자화가 필요하다. 양자화는 표본화 된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전압 레벨의 구간에 강제적으로 대응시키는 과정이다. 이유는 여전히 연속적인 값을 가지는 아날로그 신호의 양, 즉 처리할 데이터가 너무 많기 때문에 일정한 전압 레벨 구간으로 나누어 버리는 것이다. 3) 부호화 마지막으로 부호화를 통해 표본화와 양자화 이후에 얻어진 데이터에 2진수의 ..
컴퓨터는 왜 2진수를 사용하게 되었는지? 컴퓨팅 초기에 컴퓨터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유일한 방법은 스위치를 누르거나 천공 카드 또는 천공 종이 테이프를 넣는 것이었다. 스위치와 천공 구멍 모두 데이터가 1과 0으로 표시되는 이진수를 사용하여 상태를 쉽게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은 '스위치의 켜짐', '천공의 구멍 있음'을 나타내고 0은 '스위치의 꺼짐', '천공의 구멍 없음'을 나타냄. 따라서 인간이 사용하는 수의 체계 10진수 보다는 2진수가 컴퓨터가 이해하기 쉬운 시스템이었다. 왜 기술이 진보한 지금까지도 2진수를 사용하고 있을지 컴퓨터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부품은 CPU라고 불리는 중앙 처리 장치. 인간으로 따지면 두뇌 역할을 하며,모든 산수 계산과 논리적인 결정을 수행하고 있다. CPU는..
문제 www.hackerrank.com/challenges/find-second-maximum-number-in-a-list/problem?h_r=next-challenge&h_v=zen Find the Runner-Up Score! | HackerRank For a given list of numbers, find the second largest number. www.hackerrank.com 해결 과정 & 코드 1) n과 배열을 이룰 코드(str)를 입력 받는다. n = int(input()) str = input().split(' ') 2) 배열 요소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해 모든 요소를 정수로 바꾸어준다. / 배열에 있는 구성요소들을 int로 바꾸어주는 함수 def make_int(str): fo..